도로명주소를 지번주소로, 지번주소를 도로명주소로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변환하는 국룰 방법만 쏙쏙 골라왔습니다.
★가장 중요★ 정부 공식 사이트, 이게 국룰입니다
가장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방법은 역시 정부에서 직접 운영하는 ‘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(주소정보누리집)’을 이용하는 겁니다. 헷갈릴 땐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하는 게 마음 편하더라구요.
• 도로명주소 ↔ 지번주소 양방향 변환이 모두 가능해요.
• 50건 이하의 소량 주소는 웹사이트에서 직접 입력하고 바로 변환할 수 있구요.
• 무려 100만 건 이하의 대량 데이터도 무료로 전환 신청이 가능해서 업무용으로도 최고죠.
가장 정확한 주소 변환이 필요할 땐 무조건 공식 사이트를 이용하는 게 정답입니다.
일상에선 지도 앱이 제일 편하더라구요
사실 매번 정부 사이트에 들어가기 번거로울 때가 있죠? 그럴 땐 우리가 매일 쓰는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을 활용하면 정말 편리합니다.
따로 변환 메뉴를 찾을 필요도 없어요. 그냥 지도 앱 검색창에 아는 주소(지번이든 도로명이든)를 입력하고 검색하면, 결과 화면에 도로명주소와 지번주소가 둘 다 표시되는 거, 다들 알고 계셨나요? 정말 꿀팁입니다.
대량 변환, 개발자라면 API 활용하세요
혹시 엑셀에 정리된 수백, 수천 개의 주소를 한 번에 바꿔야 하거나, 개발 중인 서비스에 주소 변환 기능이 필요하신가요? 걱정 마세요. 전문가를 위한 방법도 있습니다.
• 대량 주소 변환: 위에서 소개한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에서 파일을 통째로 업로드해서 변환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• 개발자용 API: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오픈API를 신청해서 사용하면, 실시간으로 주소를 변환하는 기능을 내 서비스에 탑재할 수 있어요.
세 줄 요약
1. 가장 정확하고 공식적인 방법은 정부 ‘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(juso.go.kr)’을 이용하는 것입니다.
2. 평소에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할 땐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에 검색만 해도 바로 변환된 주소를 볼 수 있어요.
3. 업무용 대량 데이터는 파일 전환 신청, 개발자는 오픈API를 활용하면 아주 편리합니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