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강보험료 어디서 조회하나요? 소득기준, 소득 상위10프로 얼마 내나요?

내 건강보험료 조회하러 가기

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 조회 방법과 소득 기준, 그리고 소득 상위 10%의 건강보험료 납부액까지 시원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

알아두면 도움이 될 건강보험료 정보, 지금 바로 확인해 볼까요?

내 건강보험료, 가장 정확하게 조회하는 국룰 방법!

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역시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채널을 이용하는 겁니다.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딱 두 군데만 기억하시면 돼요.

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: 접속 후 공동인증서, 카카오, 네이버, 휴대폰 간편인증 등으로 로그인하면 됩니다. 개인별 보험료 납부내역은 물론, 자격득실, 환급금 조회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어요.

‘The 건강보험’ 모바일 앱: 스마트폰으로도 간편하게 로그인해서 모든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 바쁜 일상 속에서 언제 어디서든 내 건강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으니 정말 편리하죠.

2025년 건강보험료, 소득 기준은 어느 정도일까요? (1인 가구 예시)

건강보험료는 소득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데요. 2025년 기준, 1인 가구의 중위소득 100%를 월 소득 239만원으로 볼 때, 건강보험료(직장가입자 본인 부담)는 약 79,240원 수준이라고 합니다. 대략적인 소득 구간별 본인 부담액을 아래 표에서 확인해 보세요.

소득 구간 월 소득 건강보험료 (본인 부담)
50% 119만원 41,890원
70% 167만원 55,640원
85% 203만원 67,340원
100% 239만원 79,240원
125% 299만원 98,910원
150% 359만원 119,660원
200% 478만원 158,970원

직장가입자는 전체 보험료율 7.09% 중 본인이 3.545%를 부담합니다. 월급 외 기타 소득(연 2천만원 초과 시)도 보험료에 일부 반영될 수 있어요.

지역가입자는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(부동산, 자동차 등)과 전월세 보증금 등도 건강보험료 산정에 반영된다는 점, 참고해 주세요.

2025년 건강보험료 소득 상위 10% 기준은?

소득 상위 10%라는 말, 자주 듣게 되는데요. 2025년 기준 건강보험료로 알아보는 소득 상위 10%는 다음과 같습니다.

직장가입자: 본인 부담 월 약 27만 5천원 이상 (월 소득 약 700만원 이상)

지역가입자: 월 납부액 약 45만원 이상 (연 소득 약 9,500만원 이상인 종합소득 대상자)

참고로 소득 상위 10%에 해당되면, 정부에서 제공하는 일부 복지 혜택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

세 줄 요약

1.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‘The 건강보험’ 모바일 앱에서 내 건강보험료를 가장 정확하게 조회할 수 있어요.
2. 2025년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%(월 239만원)의 건강보험료는 약 79,240원(직장가입자 본인 부담) 수준입니다.
3. 2025년 건강보험료 소득 상위 10%는 직장가입자 기준 월 27만 5천원 이상, 지역가입자 기준 월 45만원 이상(연 소득 9,500만원 이상)입니다.

Leave a Comment

표시할 이미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