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노인 교통카드 만들기] 발급 방법 신청 서류/ 기준 조건

만 65세 이상 어르신이라면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경로우대 교통카드, 어떻게 발급받아야 할지 막막하셨죠? 소득이나 재산에 상관없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는 꿀팁! 발급 조건부터 신청 서류, 방법까지 한 번에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.

누가 발급받을 수 있나요? (발급 조건)

가장 중요한 발급 대상과 조건입니다. 복잡하지 않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.

나이: 만 65세 이상 어르신 (주민등록 생일 기준)

거주지: 주민등록상 거주지 기준 (예: 서울 거주자는 서울시 카드 발급)

소득/재산: 전혀 상관없습니다!

신청인: 반드시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. (대리 신청 불가)

어디서, 어떻게 신청하나요?

신청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. 편한 방법으로 선택하시면 되구요, 카드는 1인당 1장만 발급 가능합니다.

가까운 주민센터 (동사무소) 방문: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죠. ‘단순 무임카드’를 즉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
지정 은행 방문: 체크카드나 신용카드 기능이 추가된 카드를 원하시면 은행으로 가셔야 해요. 지역마다 지정 은행이 다릅니다.

서울시: 신한은행

경기도: NH농협은행

부산시: 부산은행

★필독★ 신청할 때 꼭 챙겨가야 할 서류

서류를 빠뜨리면 두 번 걸음 할 수 있으니 미리 챙기는 게 국룰입니다.

필수 서류: 신분증 (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)

추가 서류 (은행 방문 시): 은행 통장 사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참고: 일부 주민센터에서는 증명사진을 요구할 수도 있으니, 방문 전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.

이것만은 꼭! 주의하세요

카드를 발급받고 이용할 때 몇 가지 중요한 점이 있더라구요.

버스 이용: 지하철은 무료지만, 버스는 T머니처럼 돈을 충전해야 이용 가능합니다.

타인 양도 금지: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면 1년간 사용이 금지되고 재발급도 제한됩니다.

분실 신고: 잃어버렸을 땐 즉시 주민센터나 카드사(은행)에 신고해야 합니다.

세 줄 요약

1. 만 65세 이상이라면 소득 상관없이 누구나 신분증만 가지고 신청 가능합니다.
2. 주민센터(단순무임카드) 또는 지역별 지정 은행(신용/체크카드)에서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.
3. 지하철은 무료지만, 버스는 유료이므로 반드시 충전 후 사용해야 합니다.

Leave a Comment

표시할 이미지